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방콕 폭격

방콕 폭격
태평양 전쟁의 일부

폭격으로 파괴된 방콕 시가지의 모습.
날짜1942년 1월 7일 - 1945년 4월 14일
장소
교전국
미국의 기 미국
영국의 기 영국
자유 타이 운동
태국의 기 태국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
  • v
  • t
  • e
동남아시아 전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태국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네덜란드령 동인도
  • 1차 보르네오
  • 마나도
  • 타라칸
  • 발릭파판
  • 암본
  • 마카사르 해협
  • 수마트라
  • 팔렘방
  • 바둥 해협
  • 티모르
  • USS 랭글리 해전
  • 1차 자바해
  • 순다 해협
  • 자와
  • 2차 자바해
  • 1944년 10월 6일 사건
  • 1944년 11월 10일 사건
  • 1945년 4월 23일 사건
  • 1945년 6월 8일 사건
  • 2차 보르네오

인도양
  • 1941년 2월 27일 사건
  • 1941년 5월 8일 사건
  • 시드니 Vs. 코르모란
  • 일본의 인도양 통상파괴전
  • 안다만 섬과 니코바르 제도
    • 홈프레이간지 학살
  • 크리스마스섬
  • 1차 인도양
  • 부활절 일요일 기습
  • 마다가스카르
  • 코코스섬 반란
  • 레위니옹
  • 1943년 11월 13일 사건
  • 1944년 1월 11일 사건
  • 1944년 2월 14일 사건
  • 2차 인도양
  • 1944년 7월 17일

버마, 인도, 중국
일본의 버마 침공
  • 빌린강
  • 시탕 다리
  • 페구
  • 타욱칸
  • 윈난-버마 도로
    • 타치아오
    • 옥트윈
    • 퉁구
  • 스웨당
  • 프롬
  • 예낭야웅
버마 전역 (1942-1943년)
  • 아라칸
  • 험프
  • 버마 특공대
버마 전역 (1944년)
  • 2차 버마 특공대
  • 응가키에닥
  • 우호 작전
  • 미치나
  • 모가웅
  • 쑹산
버마 전역 (1944-1945년)
  • 메키틸라-만달레이
  • 파포쿠
  • 170고지
  • 람리섬
  • 탄레 차웅
  • 드라큘라 작전
  • 엘레펀트곶
  • 시탕 사선

방콕 폭격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연합국이 태국의 수도 방콕을 수 차례 폭격한 일을 말한다. 1944년 6월 실전 배치되기 시작한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의 첫 폭격 목표 도시기도 했다.

영국과 미국의 초기 공습

컨살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폭격기가 대열을 갖춰 비행하는 모습.

일본군이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침공하고 태국 정부가 일본 제국의 압박에 말라야와 버마 침공을 위한 집결지로 내 주는 것에 합의해주면서 1941년 12월 8일 연합군은 태국이 선전 포고를 하기도 전에 방콕 폭격을 결정하였다. 1942년 1월 17일 랑군에서 이륙한 영국 왕립공군(RAF) 폭격대가 방콕의 주요 군사 목표물을 폭격하면서 첫 방콕 공습이 시작되었다.[1][2] 영국 왕립공군 제113 비행중대의 3기, 영국 왕립공군 제45 비행중대의 브리스톨 블렌하임 7기를 동반한 미국 자원군도 첫 공습에 참여했다.[3] 제113 비행중대의 항공기는 영국 왕립공군 제60 비행중대의 승무원이 조종하였다. 두 번째 공습은 1월 24일부터 25일 사이 제60 비행중대의 블렌하임 8기가 야간 공습하는 형태로 진행했다.[4] 3일 후 블렌하임 4기가 최후의 공습을 감행했다. 영국과 미국의 공습에는 친연합군 계열 반일 게릴라 운동인 자유 타이 운동의 도움을 받았다. 자유 타이 운동 단원은 연합국의 비행기에게 일본군의 진지 위치를 알려주고, 심지어는 목표 대상의 날씨와 같은 정보도 제공하였다.[5]

3월 7일 랑군이 일본군에게 함락되자 인도와 중국에 기지를 둔 영국 왕립공군과 미 제10공군의 컨살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같은 중폭격기가 태국을 폭격하기 시작했다.[6][7] 방콕이 1943년부터 제18방면군 사령부가 들어서면서 공습이 거세졌다.[8]

첫 B-29 폭격 임무

비행 중인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의 모습.

미군 XX 폭격사령부 산하 제58 항공사단의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들이 일본 본토 폭격 전 시험을 위해 방콕 폭격에 동원되었다.[9] B-29의 방콕 폭격 투입 결정은 1943년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영국의 총리 윈스턴 처칠이 항구와 철도 폭격에 B-29를 사용하자는 합의를 받아 내어 동남아시아 전선에 폭격기를 투입하자고 결정하여 이루어졌다.[10]

1944년 6월 5일, 제58 항공사단장인 라버네 샌더스 장군이 지휘하는 B-29기 98기가 인도의 비행장에서 이륙하여 방콕의 마카산 철도 기지를 향해 날아갔다. 왕복 거리 약 3,638 km(2,261 마일)에 달하는 이번 공습은 전쟁 중 가장 긴 거리의 임무였다. B-29 77기가 방콕에 도착했고, 나머지 21기는 엔진 문제로 중간에 회항하였다. 오전 11시 경 폭격기들은 방콕에 도착했으나 악천후로 표적이 가려졌다. B-29 폭격기들은 22,000-25,000 피트 상공에서 폭탄을 투하하기로 하였으나 17,000-27,000 피트 상공에서 폭격을 시작하였다. 목표물에 명중한 폭탄은 18개에 불과했다. 폭격으로 일본 군병원이 파괴되었고 일본 비밀경찰 본부도 피해를 입었다. B-29 중 42기가 연료 부족으로 다른 비행장으로 우회해야 했다. 이 중 5기가 착륙 과정에서 추락하였다. 방콕의 전략적 목표물에 대한 추가 공습이 이루어졌다.[11]

같이 보기

  • 제2차 세계 대전의 태국
  • 극동 공군 (영국 왕립공군)
  • 동남아시아 폭격 (1944-1945년)

각주

  1. RAF hits Bangkok, Evening Post, Volume CXXXIII, Issue 7, 9 January 1942, Page 5
  2. http://113squadron.com/id120.htm Burma - Air Operations, Jan 1st to May 22, 1942, Air-Vice-Marshal D. F. Stevenson's report
  3. Air fighting, Auckland Star, Volume LXXIII, Issue 8, 10 January 1942, Page 7
  4. Thai Capital Plastered, The Western Australian, Perth, 26 Jan 1942, page 3
  5. LePoer, Barbara Leitch, 편집. (1987). 《Thailand: a country study》 (영어). Washington, D.C.: Federal Research Division. 30–31쪽. OCLC 44366465. 
  6. Jap oil refinery destroyed, The Canberra Times, 28 November 1942, page 2
  7. Support from Siam, Evening Post, Volume CXXXV, Issue 3, 5 January 1943, Page 5
  8. Madej 1981.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Madej1981 (help)
  9. Bombers Over Japan, Evening Post, Volume CXXXVII, Issue 142, 17 June 1944, Page 7
  10. R-418/9 memo, Churchill and Roosevelt - The Complete Correspondence - II Alliance Forged, Warren F Kimball,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1984, page 617
  11. Strike Tokio Again, Evening Post, Volume CXXXVIII, Issue 129, 28 November 1944, Page 5

외부 링크

  • Pattaya Mail: A Slice of Thai History: The Air War Over Thailand, 1941–1945, Part Two, The Allies Attack Thailand, 1942–1945
  • B-29 bombers being manufactured and they bombard the Rama VIII Bridge in Bangkok - 유튜브
  • Bombing of Rama VI bridge in Bangkok - 유튜브
  • v
  • t
  • e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의 도시폭격
유럽 전구
덴마크
프랑스
  • 르아브르
  • 루아양
  • 생뇌드익서렁
독일
루르 전투
그 외
이탈리아
네덜란드
  • 에인트호번
  • 네이메헌
  • 로테르담
폴란드
  • 프람폴
  • 바르샤바
  • 비엘룬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플로이에슈티
소련
영국
  • 영국 본토 항공전
  • 베데커 전격
  • 더 블리츠
    • 베로
    • 바스
    • 벨파스트
    • 버밍엄
    • 브리그턴
    • 브리스틀
    • 카디프
    • 클라이드뱅크
    • 코벤트리
    • 엑서터
    • 그리노크
    • 리즈
    • 리버풀
    • 런던
    • 맨체스터
    • 노리치
    • 노팅엄
    • 플리머스
    • 셰필드
    • 사우샘프턴
    • 스완지
유고슬라비아
  • 베오그라드
  • 포드고리차
  • 사라예보
기타 도시
  • 부다페스트 (헝가리)
  • 더블린 (아일랜드)
  • 함메르페스트 (노르웨이)
  • 헬싱키 (핀란드)
  • 남소스 (노르웨이)
  •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 샤프하우젠 (스위스)
  • 소피아 (불가리아)
  • 탈린 (에스토니아)
  • 빈 (오스트리아)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태평양 전쟁
버마
중국
일본
싱가포르
  • 추축국의 폭격
  • 연합국의 폭격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기타 도시
  • 방콕 (태국)
  • 콜롬보 (스리랑카)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마닐라 (필리핀)
  • 수라바야 (인도네시아)
지중해와 중동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타 지역
북아프리카
차드
  • 포르라미
  • v
  • t
  • e
양상
주제
  • 항공전
    • 유럽 전구
  • 전격전
  • 장군 계급 비교
  • 암호학
  • 선전포고
  • 외교사
  • 망명 정부
  • 국내 전선
    • 오스트레일리아
    • 영국
    • 미국
  • 무기대여법
  • 맨해튼 계획
    • 영국의 기여
  • 훈장
  • 군사 장비
  • 군수 산업
  • 해군사
  • 나치의 약탈
  • 반전 운동
  • 기술
    • 연합국간의 협력
    • 멀베리 항구
  • 총력전
  • 전략 폭격
  • 종속국
  • 여성
  • 예술
전구
여파
전쟁 범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저항운동
전쟁 포로
  • 소련의 핀란드인 포로
  • 독일인 포로
    • 소련의 포로
      • 아제르바이잔
    • 미국의 포로
    • 영국의 포로
  • 소련의 이탈리아인 포로
  • 일본인 포로
    • 소련의 포로
  • 소련 포로
    • 핀란드의 포로
    • 독일의 잔학 행위
  • 폴란드인 포로
  • 루마니아인 포로
연표
전조
1939년
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 서지
  • 분류 분류
  • 위키프로젝트 위키프로젝트
  • 위키낱말사전 위키낱말사전
  • 위키책 위키책
  • 위키인용집 위키인용집
  • 위키문헌 위키문헌
  • 위키미디어 공용 위키공용
  • 위키뉴스 위키뉴스